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사)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로그인 회원가입
모두의 4월에서
하나되어 5월에서 6월로
제65주년 4ㆍ19혁명 전북기념식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65주년 4ㆍ19혁명 전북기념식
모두의 4월에서
하나되어 5월에서 6월로.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65주년 4ㆍ19혁명 전북기념식
모두의 4월에서
하나되어 5월에서 6월로.
기념추모행사

민주항쟁
기념식

6월 10일이후 6월 29일까지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운동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4·13호헌조치, 시위 도중 이한열이 최루탄에 맞아 사망한 사건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다. 이에 6월 29일 민정당 대선후보 노태우는 민주화를 위한 요구사항을 대폭 수용하고 직선제 개헌을 마침내 1987년 12월 16일 직선제 대통령 선거가 이루어졌다.

View more
기념추모행사

5ㆍ18민주화운동

1960.2.28 ~ 1960.4.26까지 전국에 전개된 민주화 운동

3.15부정선거를 계기로 학생들의 시위에 시민들이 참여함으로써 혁명으로 발전했고,경찰의 유혈진압으로 많은 희생이 발생했다. 그 결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했고 4월혁명기로 이어졌다. 대한민국 최초의 전국 단위 민주화운동으로 이후 한국민주화운동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Detail view
학술자료

6ㆍ10민주항쟁
기념식

전두환 신군부 12·12군사반란으로 실권 장악.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사망하자, 전두환 보안사령관 등 일부 정치군인들이 12·12군사반란을 일으켜 극비리에 실권을 장악했다. 1961년 박정희의 5·16군사쿠데타에 참여했던 군인들과 대비하여 이들을 신군부라 불렀다. 18년간 지속됐던 군사독재가 막을 내리면서 1980년 초 ‘서울의 봄’이 시작됐다. 대다수 국민은 빨리 헌법을 민주적으로 바꿔 민주주의를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에 발맞춰 대학가를 중심으로 비상계엄을 해제하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자세히보기

사업화활동

전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사업화활동 바로가기

  • 45주년 5·18 민주 항쟁 추모제 5.17일  전북대에서 열렸다

    45주년 5·18 민주 항쟁 추모제 5.17…

  • 6.10민주화운동사진

    6.10민주화운동사진

  • 게시물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 게시물이 없습니다.

CS CENTER

궁금한 사항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TEL 063-231-0518